안녕하세요. 경제용어를 공부하고 있는 샤샤별입니다.
오늘은 국내총생산(GDP)과 국민총소득(GNI)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국내총생산 ( GDP, Gross Domestic Product )
국내총생산이란 한 나라의 영역 내에서 가계, 기업, 정부 등 모든 경제 주체가
일정 기간동안 생산활동에 참여하여 창출한 부가가치 또는 최종 생산물을
시장가격으로 평가한 합계를 말합니다.
여기에는 국내에 거주하는 비거주자 즉, 외국인에게 지급되는 소득도 포함이 되는데요.
한편 가격의 적용방법에 따라 명목 GDP(Nominal GDP)와 실질 GDP(Real GDP)로 구분이 됩니다.
명목 GDP란, 국가경제의 규모나 구조 등을 파악하는 데 사용되고,
실질 GDP는 경제성장과 경기변동 등 전반적인 경제활동 흐름을 분석하는데 이용이 되는데요.
GDP는 경제의 크기와 성장률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고 있습니다.
정부와 기업, 투자자 및 경제학자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에게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동시에
국내총생산은 국가 간 비교, 경제 정책 평가, 경제 모니터링 및 예측 등
다양한 경제 분석 목적으로 활용됩니다.
GDP를 계산하는 주요 방법 3가지
첫번째, 생산 방법론(Production Approach)이 있습니다.
이 방법은 국내에서 생산된 모든 상풍과 서비스의 가치를 더하는 방식입니다.
이것은 산업별 생산량, 가치 추가와 고용량 및 원재료 비용 등을 고려하여 GDP를 측정합니다.
두 번째, 지출 방법론(Expenditure Approach)이 있습니다.
국내에 소비되거나 투자된 모든 상품과 서비스의 지출을 더하는 방식을 말하는데요.
이것은 소비와 투자, 수출과 수입등을 기반으로 GDP를 계산합니다.
세 번째, 소득 방법론(Income Approach)이 있습니다.
국내에서 생성된 모든 소득의 모두 합한 것을 기반으로 GDP를 계산하는 방식인데요.
이것은 임금과 이자, 임대료와 이익 및 세금 등을 고려합니다.
국민총소득 ( GNI, Gross National Income )
국민총소득 즉, GNI란, 한 나라의 국민이 생산활동에 참여한 대가로 받은 소득의 합계를 말합니다.
외국으로부터 국민, 즉 거주자가 받은 소득인 국외수취 요소소득은 포함이 되고,
외국인에게 지급한 소득인 국외지급 요소소득은 제외가 됩니다.
한편 국내총생산은 국내에 거주하는 모든 생산자가 생산한 부가가치를 합산한 것이기에
국외 거래에 의하여 발생하는 생산은 고려하지 않아
GDP와 GNI는 국외순수취요소소득만큼 차이가 발생하게 되는데요.
즉, 국민총소득은 국내총생산에서 외국으로부터 국민이 받은 소득인 국외순취요소소득을 더하면 됩니다.
(GNI=GDP+국외순취요소소득)
경제적 자유를 위한 공부의 첫걸음! 도움이 되시길 바라요.
'경제 개념 쉽게 풀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에도 김치 프리미엄이? (3) | 2025.04.18 |
---|---|
원달러 환율이란? 지금 시점에서 꼭 알아야 할 경제 신호 (1) | 2025.04.13 |
기준금리와 실질금리 뜻, 차이점, 실생활 적용 (4) | 2025.03.31 |
디플레이션과 스태그플레이션, 어떻게 다를까? (1) | 2025.03.29 |
인플레이션 뜻과 원인, 경제에 미치는 영향 총정리 (1) | 2025.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