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속 경제 이야기

2025년 부동산 세금 양도세,종부세,취득세 총 정리!

by 샤샤별 2025. 4. 19.
728x90
반응형

양도세부터 종부세, 취득세까지 쉽게 정리!

2025년에도 부동산 세금은 여전히 투자자와 실수요자 모두에게 중요한 이슈입니다.
올해는 특히 다주택자 규제 완화와 세율 조정 등 세법 변화가 있었기 때문에
정확하게 알아두는 것이 유리합니다.

이 글에서는 양도소득세, 종합부동산세, 취득세, 재산세까지
핵심만 쏙쏙 정리해드릴게요.


✅ 1. 양도소득세 (집을 팔 때 내는 세금)

🧾 주요 변경점

  • 2주택자 양도세 중과세율 완화 유지 (기본세율 + 20%)
  • 1세대 1주택 비과세 기준: 보유 2년 이상 + 실거주 2년

💡 비과세 요건 요약

항목 조건
실거주 요건 조정지역 내: 거주 2년 이상 필수
보유 요건 2년 이상 보유 (조정지역 여부 무관)
비과세 한도 1주택 기준 9억 원 이하 까지 비과세

✅ 2. 종합부동산세 (부자세, 다주택자 대상)

📌 과세 기준

  • 공시가격 합산 기준
    • 1주택자: 11억 원 초과 시 과세
    • 다주택자(조정지역): 세부담 상한 완화됨 (2024년에 이어 유지)

💸 세율

  • 기본: 0.5% ~ 2.7% 구간 누진
  • 2025년 개정안:
    • 고령자 + 장기보유 공제 최대 80%까지 가능

✅ 3. 취득세 (부동산 살 때 한 번 내는 세금)

주택 수 세율
1주택 1~3% (취득가액 기준 누진)
2주택 이상 8% (조정지역 내 중과)
3주택 이상 12% (조정지역 내 중과)

※ 생애 최초 주택 구입자 감면 혜택은 2025년에도 일부 연장 적용 예정입니다.


✅ 4. 재산세 (매년 내는 보유세)

  • 매년 6월 1일 기준 소유자에게 과세
  • 공시가격 기준
  • 1주택자 공정시장가액비율 완화 유지 → 세부담 다소 줄어듦

✍️ 실전 예시 – 내가 세금 얼마나 낼까?

예: 2주택 보유자가 9억 원짜리 아파트를 매도
→ 양도차익 3억 원 발생
→ 기본 공제 후 약 20% 양도세 부과
→ 기타 소득이 있다면 합산 과세 주의!


📝 마무리 정리

세금 종류 내는 시점 대상
양도소득세 부동산 매도 시 모든 매도자
종합부동산세 매년 12월 고가 부동산 소유자
취득세 매입 시 모든 매입자
재산세 매년 7월 부동산 보유자 전체

💡 한줄 요약

“2025년 부동산 세금, 변화된 기준을 알고 대응해야 세금폭탄을 피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