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골드바 vs 금통장 vs 금 ETF 전격 비교
금값이 연일 최고가를 경신하면서 금에 대한 투자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금에 투자하는 방법은 다양하기 때문에, 어떤 방식이 가장 나에게 맞는지 비교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 1. 골드바 – 실물 자산의 안정감
- 장점
- 실물로 소유 가능 → 위기 시 가치 저장 수단으로 인기
- 감정가치, 선물용으로도 활용 가능
- 단점
- 구매 시 부가세 10% + 수수료
- 보관 및 도난 위험
- 세금
- 매도 시 수익 발생 시 기타소득세 22%
- 연 250만 원 공제 있음
✅ 2. 금통장 – 은행에서 g 단위로 거래
- 장점
- 소액 투자 가능 (1g 단위부터)
- 실물 없이 간편하게 사고팔기 가능
- 단점
- 실물 인출 시 부가세 + 수수료 발생
- 환율, 시세에 따라 손익 변동 큼
- 세금
- 양도차익에 대해 기타소득세 22%
- 실물 인출 시 부가세 10% 추가
✅ 3. 금 ETF – 주식처럼 거래하는 금
- 장점
- HTS, MTS를 통한 실시간 매매 가능
- 보관 부담 없음
- 세금 부담 낮음 (매매차익 비과세)
- 단점
- 금 실물이 아닌 파생상품
- 일부 해외 ETF는 환차손 발생 가능
- 세금
- 배당소득세 15.4% (배당금 발생 시)
📊 한눈에 보는 비교표
항목 | 골드바 | 금통장 | ETF |
실물 보유 | O | X | X |
최소 투자금 | 수십만 원 이상 | 수만 원 | 수천 원 가능 |
수수료 | 높음 | 중간 | 낮음 |
세금 | 기타소득세 22% | 기타소득세 22% | 배당세 15.4% |
유동성 | 낮음 | 중간 | 매우 높음 |
보관 위험 | 있음 | 없음 | 없음 |
📝 마무리 정리
- 실물 금(골드바) → 안정성과 상징성을 중시하는 투자자에게 추천
- 금통장 → 예금처럼 금을 사고팔고 싶은 사람에게 적합
- 금 ETF → 빠른 매매와 세금 혜택을 누리고 싶은 투자자에게 최적
금은 안전자산으로서의 가치뿐만 아니라 세금과 유동성 측면도 함께 고려해야 하는 자산입니다.
내 투자 성향에 맞는 금 투자 방식을 선택해보세요!
728x90
반응형
'경제 공부하는 엄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공부 입문자에게 추천하는 책 3권: 『돈의 속성』, 『보도 쉐퍼의 돈』, 『EBS 자본주의』 (2) | 2025.04.12 |
---|---|
2025년 자영업자 세금 혜택 정리|소득공제부터 부가세 환급까지 한눈에 (2) | 2025.04.12 |
돈이 안 모이는 사람들의 3가지 공통점 (혹시 나도 해당될까?) (5) | 2025.04.11 |
소득격차를 체감하는 일들 (0) | 2025.04.01 |